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4

F1-8X v2(SMKX 2024 Edition) 0. 배경이야기 ​ 1) 이름의 뜻 ​ F1-8X는 2020년 만들어진 GEONWORKS(이하 지온웍스)의 첫 키보드입니다. ​ 이름의 F는 Freq의 앞글자로 Frequency(진동)을 뜻합니다. 제작하는 과정에서 많은 진동 테스트를 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뒤에는 배열을 뜻하는 8X(87 or 84)가 붙어 있습니다. ​ F1-8X의 이름은 원래 'Glare FREQ1'이었습니만, 지온웍스의 Glare님께서 부담스러워해서 Glare가 빠지고, Freq의 F만을 따 현재의 이름이 되었습니다. ​ 2) 상컬트 ​ 보통 F1-8X를 '상컬트'라고 칭합니다. ​ 그 이유는 지온웍스의 원 상호명이 '상우정공'이었는데 하이엔드 키보드인 '키컬트'와 비슷한 베젤 비율과 가스켓을 통해 생겨난 타건감 때문에 상우.. 2024. 4. 14.
키네틱스 켈빈 빙글트레이 리뷰 최근 국내 키보드 업체인 Keynetix(이하 키네틱스)는 Kelvin(이하 켈빈)이라는 자체 키보드의 예약판매를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 탑마운트를 좋아하는 저도 도전하여 구매의 성공하였고, 현재 제작이 되기를 기다리는 중입니다. ​ 몇일 전 키네틱스에서 제품이 발송했다는 메일이 왔습니다. 분명 키보드가 완성되는 데에는 시간이 좀 더 걸리는 걸로 알아서, 확인차 디스코드에 들어가 보니 '빙글 트레이'만 먼저 배송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참고로 빙글트레이는 기존에 예정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가로 주신 제품입니다. 어제 제품이 도착하게 되어 간단하게 리뷰를 해보려고 합니다. ​ 1. 패키징 ​ 패키징은 사각틀 안에 비닐로 감싸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밑에 면에 'PUSH'버튼을 눌러 열어서 꺼내는 형태.. 2024. 4. 4.
마체테 R2(MacheteR2) 리뷰 오늘 리뷰할 Machet R2(이하 마체테)는 중국에서만 공제된 제품이고, 배열 특성상 굉장히 소량만 판매된 키보드 입니다. ​ 그나마 키보드 커뮤니티에서 한 유저가 굉장히 바이럴(?)을 하면서, 국내 유저들에게도 어느 정도 알려진 키보드입니다. ​ 나름 2R 제품이지만 1R에는 13명 정도 밖에 판매가 되지 않았고, 이번 2R에도 50명 정도 밖에 구매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 이 키보드를 디자인한 디자이너가 원래부터 특이한 배열을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1. 패키징 및 구성 ​ 우선 가방부터 심상치가 않습니다. 사진에서는 느껴지지 않으시겠지만 굉장히 가방이 긴 편입니다. 가방을 열어보면 위 그물망에는 구성품들이, 아래에는 하우징이 들어있습니다. 하우징을 제외한 구성품들은 기판, FR4 보강판.. 2024. 3. 26.
TGR x GAF 910 PC 리뷰 0. 배경 이야기 ​ 1) TGR 910 'TGR 910'은 TGR의 Yuktsi(육시)가 Jane CE 이후 내놓은 65%배열 하우징 입니다. 이후 많은 업체들과 콜라보를 하였습니다. ​ 가장 먼저는 GAF와 콜라보 한 'TGR x GAF 910', Monokei와 콜라보한 'TGR 910 ME(Monokei Edition)', 최근에 GSK와 Mechlovin과 콜라보 한 'GSK x Mechlovin TGR 910' ​ 모두 TGR 910을 기반으로 제작된 하우징들입니다. ​ 2) TGR x GAF 910 ​ 우선 'GAF'는 디자이너 'Kudus'가 아래와 같은 캐릭터 아티산을 판매하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이런 그의 작품을 'Shuangmu'(이하 슈앙무) 가 TGR과 콜라보 하여 낸 제품이 TG.. 2024. 3. 25.
KKB Jindo(키보도 진도) 리뷰 저는 누렁이 키캡을 굉장히 좋아하는 편입니다. ​ 남들은 틀딱이다 이야기 하지만 클래식 하면서도, 오래봐도 질리지 않고, 다양한 색상의 하우징에 잘 어울리고, 포인트 킷도 잘 어울리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이번에 오랫동안 기다리던 KKB(키코보)의 Jindo(이하 진도)가 판매를 시작하게 되어 구매해 보았습니다. 0. 패키징 ​ 커다란 박스에 베이스 킷 박스와 추가로 구매한 익스텐션 킷이 함께 담겨서 왔습니다. 박스의 디자인은 화이트 배경에 포인트킷 색상인 RGB(Red, Green, Blue)의 강아지(아마도 진돗개)가 형상화 되어있으며 오른쪽에는 'Jindo'라고 적혀있습니다. 사이드에는 KEYKOBO X GEONWORKS 가 적혀있습니다. 박스 옆을 통해 트레이를 꺼내는 형태입니다... 2024. 3. 25.
플레임 파티나(Flame Patina) 후기 커스텀 키보드 제작에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는 '알루미늄'입니다. ​ 그러나 무게추의 경우 소리와 무게를 위해 알루보다 밀도가 더 높은 소재인 황동이나 서스, 구리 등을 사용하곤 합니다. ​ 그 중 황동이나 구리의 경우 파티나를 이용하여 멋지게 꾸미곤 하는데 특히 구리의 경우 불을 이용한 파티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불을 이용한 파티나를 보통 플레임 파티나(Flame Patina) 라고 하는데 ​ 플레임 파티나를 하는 방법은 구리 소재를 낮은 방수의 사포로 시작해서 광이 날 정도로 폴리싱을 한 이후 토치로 여러번 열을 가하여 문양을 내면 됩니다. ​ 저는 구리로 제작한 jane v2의 무게추와 토블론을 지인분의 도움을 받아 플레임 파티나(Flame Patina)를 해보았습니다. ​ 위가 파티.. 2024. 3. 25.
SW x Gateron DEEPPING(디핑) 스위치 리뷰 이 제품은 스웨그키에게 제공받았습니다. 제가 처음 커스텀 키보드를 시작했던 과거와 비교하면, 현재에는 정말 많은 스위치 회사들이 생겨났습니다. ​ 특히 저렴한 가격대에 좋은 퀄리티의 스위치들이 나오다보니, 큰 변화가 없어왔던 '메이저 스위치 회사들'도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특히 Gateron(이하 게이트론)은 이번에 10주년을 맞이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스위치들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 특히 최근에 나온 게이트론 Melodic의 경우 새로운 형태의 레일과 틱클릭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게이트론 Melodic(출처 : 스웨그키) ​ 이러한 변화속에서 스웨그키가 게이트론을 통해 제작한 새로 만들어진 특주(특별주문) 스위치가 오늘 소개할 SW x Gateron DEEPPING 스위치(.. 2024. 3. 25.
순정이색(OG cherry Double-shot) 리뷰 0. 배경이야기 ​ 커스텀 키보드 시장에서 키캡하면 떠오르는 브랜드를 하나를 꼽으라고 한다면 'GMK'를 꼽을 겁니다. ​ GMK의 키캡이 사랑받는 이유는 다양한 컬러웨이와 색상, 높은품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오리지널리티'도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 흔히 알고 있는 '체리 프로파일'은 Cherry사에서 제작한 형태로서 체리 스위치를 기준으로 제작이 되었고, 과거 Cherry사의 키보드에 사용되었습니다. ​ Cherry사에서는 자체적으로 이중사출, 염료승화, 레이저프린팅 방식을 이용하여 키캡을 제조하였었습니다. ​ 하지만 이중사출 금형의 경우 GMK에 판매가 되었고, 염료승화의 경우 BSP(현 Hammerworks)로 판매를 하였습니다. ​ 이러한 이유 때문에 GMK 키캡이 오.. 2024. 3. 25.
TGR Lena 리뷰 0. 배경이야기 ​ 1) TGR ​ 현 커스텀 키보드 시장에서 가장 높은 브랜드 가치를 가지고 있는 업체를 뽑으라고 한다면 'TGR'을 뽑을 것 같습니다. ​ TGR은 말레이시아에 위치하고 있으며, Yuktsi(이하 육시)가 제작한 키보드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 육시가 제작했던 키보드인 Jane v2, Jane v2 CE는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은 타건경험과 굉장히 비싼 리셀가를 가지고 있고, 그가 EM7에서 모티브를 얻어 제작한 TGR Alice의 경우 '엘리스 배열'이라는 새로운 레이아웃을 만들어냈고, 많은 키보드 업체들에서 그와 콜라보해서 만든 키보드들(Dolice, Jane me, 910 등)은 현재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의 그의 키보드를 .. 2024. 3. 25.
728x90
반응형